금융중개지원대출, 통화정책 무력화에 대응하는 한국은행의 묘수: 실효하한금리 시대의 전략적 선택
한국 경제는 지금 중요한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인구가 빠르게 줄고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약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적인 변화는 소비를 위축시키고 기업 투자에도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하는 기존 방식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른바 '실효하한금리'에 다다른 것이죠. 금리를 더 이상 내릴 수 없거나 내려도 별다른 효과가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이런 배경에서 한국은행이 주목하는 새로운 정책 수단이 있습니다. 바로 '금융중개지원대출'입니다. 어려운 말 같지만 쉽게 말해,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주고, 그 돈이 다시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 등에게 대출로 흘러가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금리를 내려도 효과가 없을 때 필요한 대안 과거에는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를 낮추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금리를 내려도 기업과 가계가 돈을 쓰지 않으니 경기를 살리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금리가 너무 낮아지면 은행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자산 가격만 자극해 부동산이나 주식 시장의 거품을 키울 위험도 있습니다. 여기서 등장한 것이 금융중개지원대출입니다. 이 제도는 금리를 건드리지 않고도 실물경제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자금 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 같은 취약한 부문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이미 몇 차례 이 제도를 활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이 더딜 때, 특정 산업이 위기에 처했을 때, 그리고 지난해 계엄사태 이후 극심한 경기침체에도 금리를 크게 내리지 않고 금중대를 통해 자금을 공급했습니다. 이는 금리를 조절하지 않고도 경기부양 효과를 낼 수 있는 대안으로서 충분히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효과적인 이유는? 이 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정확하게 필요한 곳에 자금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금리를 낮추면 모든 경제 주체가 영향을 받지만, 금융중개지원대출은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