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개념, 기후변화 시대의 경제언어
탄소배출권이란 무엇인가 탄소배출권은 정부나 국제기구가 기업이나 국가에 할당해주는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을 뜻한다. 보통 이산화탄소로 환산된 단위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1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가 탄소배출권 하나다. 배출권은 제한된 총량 아래에서 기업 간 거래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기능을 활용해 전체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제도의 핵심은 바로 '총량 설정(cap)'과 '거래(trade)'다. Cap은 온실가스 총량을 미리 정하는 것이고, Trade는 그 배출권을 사고파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탄소배출권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형성된다. 배출권이 부족한 기업은 추가로 사야 하고, 여유 있는 기업은 팔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업은 자체적인 배출 감축 노력을 유도받게 된다. 경제적 유인이 작동하는 구조다. 기후문제는 왜 경제문제가 되었나 기후변화는 더 이상 과학자들만의 경고가 아니다. 폭염, 산불, 홍수와 같은 극한 기후가 반복되면서, 정치·경제의 최우선 과제로 올라섰다. 그 중심에는 '탄소'가 있다. 탄소는 산업화 이후 꾸준히 배출되어 왔고, 이로 인한 기후위기는 인류 전체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이를 해결하는 방식이 곧 새로운 경제의 논리로 자리 잡고 있다. 탄소배출권은 이처럼 기후문제를 시장의 언어로 해결하고자 만든 장치다. 단순한 규제를 넘어, 배출 감축을 하나의 '경제적 선택'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시장 기반 환경정책'의 대표 사례로 꼽히는 이유다. 실제로 유럽연합은 2005년 세계 최초로 배출권 거래제(ETS)를 도입했고, 현재는 전 세계 70여 개국이 유사 제도를 운영 중이다. 한국도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보이지 않던 것에 가격을 붙이다 탄소배출권의 가장 혁신적인 측면은 '보이지 않던 외부효과에 가격을 붙였다'는 점이다.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