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4000 시대, 급등락 속 개미가 흔들리지 않으려면?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넘어섰습니다. 한때 3000만 넘어도 대단한 일이라던 시장이, 이제는 4000을 넘었다고 해도 그리 놀라지 않을 정도로 시장은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숫자의 기쁨도 잠시,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도 요동치고 있습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방향을 바꾸는 차트 앞에서 개미 투자자들은 또다시 혼란에 빠집니다. 급등하면 따라잡고 싶고, 급락하면 다 팔아버리고 싶어지는 심리는 결코 개별 투자자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더욱 냉정해야 합니다. 시장이 흔들릴수록 중심을 잡는 사람이 결국 살아남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같은 장세에서 개미 투자자가 지켜야 할 원칙은 무엇일까요? 숫자에 매몰되면 중심을 잃는다 많은 투자자들이 '코스피 4000'이라는 숫자에 주목합니다. 이는 분명 상징적인 이정표입니다. 그러나 숫자가 곧 수익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닙니다. 주가지수는 시장 전체의 평균일 뿐이며, 개별 종목은 그와 전혀 다른 흐름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코스피가 올랐는데도 내 계좌는 파란색으로 물든 날이 많다는 것을 투자자라면 누구나 경험했을 것입니다. 즉, 지수의 상승이 곧 내 수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지수가 많이 올랐을수록 단기 조정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기도 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전체 흐름보다는 내가 투자한 종목의 본질을 들여다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그 기업이 여전히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수익 구조가 안정적인지, 시장에서 어떤 경쟁력을 갖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공포와 탐욕'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기 워렌 버핏이 한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남들이 탐욕을 부릴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을 가져라.” 지금 시장은 두 감정 사이를 빠르게 오가고 있습니다. 개미 투자자들이 가장 큰 실수를 하는 순간은 바로 이때입니다. 공포에 휩쓸려 싸게 팔고, 탐욕에 이끌려 비싸게 사는 것이죠. 급락하는 장에서 손절한 뒤, 며칠 만에 반등하는 걸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