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은값 차이, 적정 비율은 몇 배가 정상일까?
귀금속 실물 가운데 금과 은은 늘 투자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존재입니다. 특히 금은 안전자산의 대표격으로, 은은 실물 수요와 투자수요를 겸하는 특수한 자산으로 취급받습니다. 이 둘의 가격은 전 세계 선물시장에서 실시간으로 결정되며, 가격 비율은 시기마다 큰 폭으로 요동치곤 합니다. 실제로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 전 세계를 강타하던 시기, 금-은 비율은 무려 120배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저평가됐다는 신호였고, 이후 비율은 빠르게 줄어들며 60배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금값이 가파른 랠리를 보이면서 이 비율은 다시 90배 수준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쯤 되면 한 가지 궁금증이 떠오릅니다. 과연 금과 은의 가격차는 몇 배 정도가 적정한 걸까요? 금과 은, 서로 다른 경제적 속성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선 먼저 금과 은의 속성을 비교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은 그 자체로 희소성이 높고, 통화 체계의 근간을 이뤘던 자산입니다.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금 비축량, 각국의 금 수입량,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금값을 움직입니다. 반면 은은 전자, 태양광, 의료 산업 등 다양한 실물 수요처를 가진 금속입니다. 동시에 투자 수요도 무시할 수 없기에, 금과 다른 독자적인 가격 흐름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이처럼 성격이 다른 두 자산의 가격이 한 줄로 비교된다는 것은 사실상 일정한 비율을 고정하기 어렵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역사적 흐름을 통해 보면 대략적인 평균값은 도출할 수 있습니다. 20세기 이후 금-은 비율은 평균적으로 60~70배 수준에서 움직였습니다. 특히 금본위제가 폐지된 1971년 이후로는 50~80배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했으며, 극단적인 상황(금융위기, 팬데믹)에서만 100배 이상 벌어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현재 비율은 과도한 괴리일까? 따라서 현재의 90배 수준은 다소 과열된 국면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물론 이 판단이 절대적...